2023. 11. 30. 19:42ㆍ인구학
인구란 무엇인가?

인구는 2가지 측면이 있다.
(1) 고정적인 측면 (Static Aspect): 나이(age), 성별(sex), 인종(race), 사회경제적 특성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2) 역동적인 측면 (Dynamic Aspect): 출산율(fertility), 사망률(mortality), 이주(migration), and 성장(growth)
인구학(Demography)은 인구의 고정적인 측면 (Static Aspect)과 역동적인 측면 (Dynamic Aspect)을 모두 다룬다.
인구학적 분석(Demographic Analysis)은 인구학적 변수들의 변화를 이끄는 요소들 그리고 그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1) 내전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의 출산율에 끼치는 영향
2) 이민자들의 교육수준과 사망률의 관계
- 인구변화의 균형방정식 (The Balancing Equation of Population Change)


- 인구통계학적 비율의 구조(The Structure of Demographic Rates)
인구학에서 비율(rate)은 ‘발생(occurrence)/노출(exposure)’로 나타내어 진다.
전형적인 형태의 인구학적 비율(rate)은 인구가 많을수록 발생빈도가 높다라고 본다. 또한 총발생빈도수는 위험에 노출된 인원이 많은 인구집단에서 높다고 본다.

- 기간율(Period rate)과 인년(Person-years)
인구집단의 기간율(period rate)이란 사건발생건수(occurrences)와 노출시간(exposure times)을 특정기간 동안만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 인년으로 계산해야 하는 이유는 인구학에서의 사건발생(e.g., 출산 사망)은 연단위로 계산되어지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인구학에서의 분석은 사람들을 몇년동안 관찰한 수치이기 때문에 사람숫자만 계산해서는 안되고 사람숫자에다가 관찰한 연수(length of time)를 곱해주어야 한다.

정답: PY[1981.00, 1982.00] = 4(.25) + 6(.25) + 5(.25) + 4(.25) = 4.75 인년
- 인구학에서의 주요한 기간율 (Period rate)




- 인구학에서의 성장률 (Growth rate)

* 순간성장률(Instantaneous Growth rate)

* 평균연성장률(Mean Annualized Growth Rate)

- 기간 인년(Period person-years) 추정

'인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구학] 연령별 비율(Age-specific Rates) (1) | 2023.12.01 |
---|---|
인구학의 기본 개념 및 측정(2) (0) | 2023.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