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학의 기본 개념 및 측정(2)

2023. 11. 30. 19:55인구학

- 코호트(Cohort)의 개념

코호트란 ‘특정한 시간 동안 일어난 어떠한 인구학적 사건에 대해 공통의 경험을 가진 사람들의 집합’이다.

 

인구학에서 코호트는 특정한 지리적 대상물(specific geographic referent)을 가진다. 코호트는 보통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집단 및 단체(entities) 로 구성되기도 한다. (e.g., 결혼 코호트)

 

 

- 코호트(Cohort)의 비율계산

 

 

 

 

 

- 사건이 발생할 확률(Probabilities of Occurrence of Events)

 

 

 

 

 

- 인구학에서 확률계산은 불가능하다.

 

인구학에서 확률계산이 불가능한 이유는 분자와 분모의 코호트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23년의 결혼건수와 이혼건수를 계산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 둘의 코호트가 다르다. 

결혼한 다음 이혼하기까지 시차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인구집단을 1년동안 조사하였는데, 결혼이 한번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이혼이 몇건 일어났다. 

이럴 경우 확률이 무한대가 된다. 1/0 = ∞  확률은 0과 1의 범위에 들어가야 되는데 이러한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을 '무리수의 환원불능'이라고 한다. 

결국 인구학의 통상적인 범위(customary range)를 넘어서게 된다. 이때문에 인구학에서 확률계산이 불가능한 것이다. 

'인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구학] 연령별 비율(Age-specific Rates)  (1) 2023.12.01
인구학의 기본개념 및 측정  (1) 20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