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
-
[통계학] 중심경향치 측정(Measures of Central Tendency)
빈도분포표(frequency distribution)와 그래픽 기술(graphical techniques)은 데이터 정보를 표현하는데 유용한 도구들이다. 특히 빈도분포표와 그래픽의 장점은 양적정보(quantitative information)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요약해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때로는 방대한 다변량 데이터(multivariate data)를 분석해야 하는데 이 경우 그래프와 표가 효율적이지 못하다. 예를 들어, 우리가 남성과 여성들의 소득수준, 교육수준, 정치적 성향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고자 할때 이러한 정보들을 표나 그래프로 표현하려면 엄청나게 많은 표와 그래프들이 필요하다. 분석하고자 하는 변수들이 늘어날수록 정보들을 분명하게 나타내기가 어려워진다. 결국 연구자들이 아주 혼란스러워 ..
2023.12.01 -
[인구학] 연령별 비율(Age-specific Rates)
- 연령과 사건발생 거의 모든 인구집단에서, 인구학적 사건발생은 연령에 따라 다르다. 사망률을 예로 들면, 젊은층은 사망률이 낮지만, 노년층은 사망률이 높다. 신체의 노화때문이다. - 조비율과 연령별 비율의 차이점 우리가 지난 1장에서 배운 조비율(Crude Rates)은 연령변이(age variation)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출산율(fertility)이나 사망률(mortality)에서의 변이(variation)는 주로 연령별 생리학적 용량(physiological capacity)의 차이점을 반영한다. 생리학적 용량이란 "매일 신체적인 일을 얼마나 수행할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생리학적 용량은 노화로 인해 어느시점의 연령에서 급속히 줄어든다. 연령별 이주율(migration rate)..
2023.12.01 -
[통계학] 데이터의 정리와 그래픽 제시
인구건강(population health)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때 연구자들은 인구집단의 규모, 구성, 분포등을 살펴봐야 한다. 그런데 큰 인구집단을 살펴볼때는 연구자들이 복잡하고 방대한 데이터들을 다루어야 한다. 이것은 연구자들을 혼란스럽게 한다. 이때문에 데이터를 정리(organize)하고 요약(summarize)해야 한다. 데이터를 정리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관찰값들을 빈도분포표(frequency distribution)로 분류하는 것이다. * 빈도분포표(frequency distribution)는 관찰값에 대한 숫자들을 우리가 분석하고자 하는 각각의 변수들에 관한 범주로 분할해서 표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이때문에 빈도분포표는 표에 정리되어 있는데 기술적인 제목(descriptive title)..
2023.12.01 -
연구과정 (The Research Process)
1. 기존의 이론들과 사회현상들을 살펴보고 연구질문을 작성한다. 2.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연구가설을 작성한다. 3. 데이터를 수집한다. 4. 데이터를 분석한다. 5.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연구가설들을 평가한다. 통계가 필요한 부분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다.
2023.11.30 -
인구학의 기본 개념 및 측정(2)
- 코호트(Cohort)의 개념 코호트란 ‘특정한 시간 동안 일어난 어떠한 인구학적 사건에 대해 공통의 경험을 가진 사람들의 집합’이다. 인구학에서 코호트는 특정한 지리적 대상물(specific geographic referent)을 가진다. 코호트는 보통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집단 및 단체(entities) 로 구성되기도 한다. (e.g., 결혼 코호트) - 코호트(Cohort)의 비율계산 - 사건이 발생할 확률(Probabilities of Occurrence of Events) - 인구학에서 확률계산은 불가능하다. 인구학에서 확률계산이 불가능한 이유는 분자와 분모의 코호트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23년의 결혼건수와 이혼건수를 계산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 둘의 코호트가 다르다. 결혼..
2023.11.30 -
인구학의 기본개념 및 측정
인구란 무엇인가? 인구는 2가지 측면이 있다. (1) 고정적인 측면 (Static Aspect): 나이(age), 성별(sex), 인종(race), 사회경제적 특성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2) 역동적인 측면 (Dynamic Aspect): 출산율(fertility), 사망률(mortality), 이주(migration), and 성장(growth) 인구학(Demography)은 인구의 고정적인 측면 (Static Aspect)과 역동적인 측면 (Dynamic Aspect)을 모두 다룬다. 인구학적 분석(Demographic Analysis)은 인구학적 변수들의 변화를 이끄는 요소들 그리고 그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다. 1) 내전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2023.11.30